<aside>
💡 #성 카타리나 수도원 #스켈리그 마이클
로마제국은 그 세력이 쇠퇴할 무렵인 4세기 중반, 게르만족의 대이동으로 새로운 국면을 맞는다. 소위 ‘야만족’이라고 폄하된 이주민들이 가졌던 기존의 전통과 새로운 기독교 신앙이 융합하면서 유럽은 새로운 시대로 접어든다.
</aside>
게르만족의 대이동
<aside>
💡 게르만족
- 게르만어를 쓰는 사람들을 일컫는 광범위한 말
- 로마제국 후기: 로마군에 자원하는 시민이 줄면서 게르만족 용병에 의지
- 대이동이 일어나기 전부터 이미 로마제국에 게르만족이 많이 들어와 있었음
- 게르만족과 라틴민족의 특징 비교
- 게르만족의 이동경로
👀 게르만족의 대이동
- 원인: 기근과 전쟁, 훈족의 위협을 피해 이주
- 주요정착지
- 결과: 서유럽에 여러 게르만 부족국가들이 생김
- 각 부족 국가들은 200년 이상 크고 작은 전쟁을 끊임없이 벌임
</aside>
수도원 문화의 탄생
<aside>
💡 중세의 영웅, 수도사들
- 신에게 속죄하고 조용히 묵상하는 인물
- 평생 속세를 등지고 수도생활을 한 수도사
- 마치 고대의 영웅 이야기처럼 평범한 사람들에게 큰 감명을 줌
- 최초의 기독교 수도사 안토니우스 성인
- 37년간 기둥위에 살았던 시메온 성인
👀 수도원의 역할
- 혼란스러운 중세 초기의 서유럽에서도 각지에 생긴 수도원으로 인해 기독교의 생명력이 유지됨
- 수도원과 미술
- 중세 수도원은 미술작품을 생산하는 주체이자 이를 보관하는 장소로서 중요한 역할을 함
- 마을같은 수도원
</aside>
<aside>
💡 👀 성 카타리나 수도원
- 모세의 떨기나무
- 성 카타리나 수도원의 위치
- 신성한 성채에 보관된 보물들
- 예수의 얼굴 찾기
👀 외딴 곳에 지어진 수도원
- 미술작품의 생산지인 동시에 약탈로부터 미술작품을 안전하게 보관하는 역할
- 몬테카시노 수도원
- 메테오라의 성삼위일체 수도원
- 스켈리그 마이클 수도원
</as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