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de> 💡 #투탕카멘 펜던트 #나르메르 왕의 팔레트 #헤시라의 초상 #라호테프와 그의 부인 네페르트 #소인 세넵과 가족상
<aside> 💡 👀 완벽한 세계
👀 이집트미술의 묘미
<aside> 💡 👀 뜻
👀 특징
👀 예) 나르메르 왕의 팔레트
👀 근대서양의 미술사과 비교
<aside> 💡 👀 나르메르 왕의 팔레트, 기원전 3100년경, 이집트박물관
왜 팔레트일까?
강렬한 태양으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해 화장을 하는데, 돌로된 판에 구멍을 파놓고 가루형태 화장품을 넣은 다음 물을 섞어서 개어 쓰는 것
나르메르왕의 팔레트는 생활용품 아닌, 기념용으로 제작
정면성의 원리
사건이나 인물을 기록하여 신전에 안치
아름다움을 감상하기 위한 작품이 아니라
역사를 기록하고 전달하기 위한 물건으로 쓰임
사진
👀 철저한 계급사회
👀 매와 황소가 뜻하는 것
<매>
<황소>
파라오의 힘을 상징
</aside>
<aside> 💡 👀 뜻
👀 특징
<aside> 💡 👀 고대 이집트인들은 영혼이 육신이라는 집에 머무른다고 믿었다.
👀 미라
👀 인체조각
미라보다 안전하고 썩지 않는 육신
조각가: 영원히 살게 해주는 자
영생을 위한 인체조각, 주인공이 영원히 기억되기를 바랐던 목적
사람이 살고 죽는 것은, 기억되느냐 기억되지 못하느냐에 달렸기 때문에
죽은 뒤에도 이름이 계속 불리면 그 사람은 죽지 않는다는 믿음
고대 이집트인들에게 인체 조각은 자신의 복제품이었다
라호테프와 그의 부인 네페르트, 기원전 2570년, 이집트 박물관
소인 세넵과 그의 가족, 기원전2000년경, 이집트박물관
입상
이집트에서 그림은 기록을 위한 매체(글자와 비슷),
조각은 영혼의 안식처로 정교하고 정확하게, 주인공을 쏙 빼닯은 사실적인 모습으로 만듬 </as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