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de> 💡 #교리적석관 #유니우스 바수스의 석관 #크베들린부르크 이탈라
오랫동안 로마제국에서 탄압받았던 기독교는 4세기 콘스탄티누스 황제에 의해 합법화되고 얼마 지나지 않아 로마의 국교로 자리잡는다. 콘스탄티누스 황제는 공의회를 개최해 초기 기독교의 질서를 잡는 데 큰 영향을 끼쳤다.
</aside>
우리는 혁신적인 파괴자를 필요로 한다. 왜냐하면 그들의 마음속에는 이상의 빛이 있기 때문이다. -루쉰
<aside> 💡 초기 기독교의 수난(공인되는 313년 이전) 이유
인간횃불
</aside>
<aside> 💡 👀 초기 기독교미술
👀 부활의 꿈
👀 미술에 기독교를 담기 위한 노력
👀 로마석관과 초기그리스도교 석관의 차이
<aside> 💡 👀 313년 기독교 합법화
313년: 콘스탄티누스 황제가 밀라노에서 기독교를 합법화
콘스탄티누스 황제의 꿈: 십자가와 함께 “이 표징 아래 승리하리라.”는 신의 계시
수적열세에도 불구하고 라이벌 막센티우스와 전쟁에서 승리
정치적 의도: 유일신 숭배의 기독교 후원 → 자신이 로마제국의 유일한 통치자라는 정통성
하나의 신, 하나의 종교, 하나의 황제
👀 325년 니케아 공의회
👀 기독교식 석관
기독교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며 교리를 고민한 미술이 등장학기 시작함
삼위일체 교리를 고민한 ‘교리적 석관’
다양한 내용이 조화를 이룬 ‘유니우스 바수스의 석관’
예수를 당시 로마사람들이 고귀한 존재를 표현하는 방식 그대로 표현
20대 초반의 젊은 로마 귀족 남성으로 변신
</aside>
<aside> 💡 가장 오래된 그림성경
제작시기: 5세기
내용: 구약성경의 사무엘 15장
의의: 최초의 그림성경. 새로운 종교를 표현해야 했던 당대 사람들의 고민
👀 새로운 종교를 이해하기 위한 흔적
콜라보작업: 성경이야기를 잘 아는 성직자 + 내용을 잘 모르는 화가
당시 권위있던 그리스성경을 모르고 그렸을 가능성
낯선 성경이야기를 기존 고대 종교 이미지로 표현
</as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