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side>
💡 #빗살무늬토기 #주먹도끼
순수하고 강력한 미술
원시미술은 상상하고 관찰하는 만큼 놀라움을 선물한다. 교과서나 박물관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고리분한 원시시대 유물을 관심을 갖고 들여다보면, 생명력으로 가득한 미술의 맹아를 발견할 수 있다.
</aside>
주먹도끼
<aside>
💡 👀 사용시기
- 170만 년 동안 애용
- 180만 년 전부터 철기가 보급되기 전(10만년전)까지 광범위하게 사용
👀 용도
- 자르기, 벗기기, 찌르기 등 다양한 용도로 쓰임
👀 모양
- 주로 좌우 양날이 대칭을 이루고 있으며, 손잡이 부분은 둥글고 몽툭하다
- 굳이 대칭으로 만든 이유는 무엇일까?

👀 참고: 머레 콘의 학설
- “이성에게 더 섹시하게 보이기 위해서”
- 자신의 능력을 과시하기 위해 필요이상 정교하게 만들었다!
- 이성에게 잘 보이기 위해서: 섹시한 주먹도끼 이론(Sexy Handaxe Theory)
- 미술 작품이라기 보다는 “미술행위가 인간의 본질과 긴밀하다” 라는 사실을 보여준다.
</aside>
<aside>
💡 👀 연천 전곡리 주먹도끼
-
우리나라 구석기 시대를 대표하는 물건
-
한반도에도 구석기시대가 있었다는 사실의 증명
-
동아시아 구석기 문화의 우수성 알림
-
보통 주먹도끼를 찍개보다 한 수 위인 도구로 여겨졌는데, 유럽 고고학자들은 인도 서쪽을 찍개문화라 부르며 은근한 우월감을 느꼈을 것, 우리나라의 주먹도끼 발견으로 기존이론이 틀렸음을 증명
연천 전곡리 주먹도끼 | 큐레이터 추천 소장품


👀 주먹도끼 쓴 기간(170만 년)
- 최초 두 발로 걷는 유인원이 나타난 때로부터 지금까지 400만년 중 40퍼센트의 기간
- 문자를 쓴 기간 = 5000년
</aside>
빗살무니토기
<aside>
💡 👀 사용시기
1만 년 전~3000년 전
👀 용도
👀 무늬
- 손톱무늬, 세모띠무늬, 겹톱니무늬, 생선뼈무늬 등 복잡하게 구성돼 있다.
- 그릇을 빚는 것보다 그릇을 장식하는 데 정성을 들였다고 할 수 있을 정도!


</aside>
<aside>
💡 👀 기능보다 장식이 본질이다
- 질문: 미술은 삶의 여유가 있을 때 하는 일인가? 장식이 본질일 수는 없는가?
-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 본질로서 미술
- 오랜 옛날부터 미술은 항상 한가운데 자리잡고 있었다.
</aside>
미술의 시작
<aside>
💡 👀 4만 년 전의 지적 혁명
- 인간의 조건: 미술과 언어
- 인류는 약 4만년 전부터 정교한 언어 체계를 사용했고, 본격적인 미술을 시도한다.
- 주먹도끼를 본격적인 미술이라고 보기는 힘들다
- 미술은 복잡한 언어를 사용할 정도의 고차원적 사고가 있어야 할 수 있는 행위이기 때문이다.

</aside>